logo

광명 지하 터널 ‘기둥 파손’ 됐는데… 시공사는 “붕괴 위험 없다”

지난 11일 경기 광명 신안산선 지하 터널 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붕괴 사고는 17시간 전부터 기둥이 파손되는 등 붕괴 징후가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13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문진석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토교통부에서 받은 시행사 넥스트레인의 최초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시공사인 포스코이앤씨는 사고 전날인 10일 오후 9시 50분 터널 내부 기둥이 파손된 사실을 확인하고 지하에 있던 근로자들을 대피시켰다. 붕괴 17시간 전이다.

보고서에 첨부된 당시 사진을 보면 터널 아치를 받치는 콘크리트 기둥이 군데군데 깨져 있다. 기둥 아래에는 부서진 철근과 콘크리트 잔해가 쌓여 있다. 보고서에도 ‘터널 중앙 기둥 파손’이라고 썼다.

그러나 시공사 측은 2시간 뒤인 밤 12시쯤에야 광명시에 “기둥에 균열이 발생했다”고 알렸고, 비슷한 시각 현장에 출동한 경찰에도 “붕괴 위험은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고 한다.

경찰 관계자는 “시공사 측이 상황을 축소 보고한 건 아닌지 확인할 계획”이라고 했다.

시공사는 11일 오전 4시쯤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측과 안전 진단을 해 오전 7시쯤 기둥 옆에 ‘H빔’을 덧대는 보강 공사를 시작했다. 그러다 오후 3시 13분쯤 공사 현장이 붕괴되면서 지상에서 일하던 근로자 2명이 매몰됐다.

최초 상황 보고서를 본 최명기 대한민국산업현장교수단 교수는 “기둥이 이 정도로 심하게 파손됐다면 적어도 일주일 전부터 실금이 보이는 등 징후가 있었을 것”이라며 “안전 관리에 소홀했던 것 같다”고 했다.

시공사의 보강 공사 방법에 대해서도 “상황을 가볍게 본 것 같다”고 했다. 박창근 가톨릭관동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이미 파손된 기둥에 H빔을 용접할 게 아니라 잭서포트 같은 철제 지지대를 먼저 끼워 넣어 안전을 확보한 뒤 보강 공사를 했어야 했다”고 말했다. 사고 당시 지하에 있던 근로자 12명은 땅이 무너지자 곧바로 대피했으나 매몰된 2명은 지상에서 작업을 하고 있어 상황을 제때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이 또한 시공사가 붕괴 위험을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았다는 근거”라고 했다.

붕괴 사고가 난 현장은 감사원도 “지반이 약하다”고 지적한 곳이다. 감사원은 2023년 1월 ‘광역 교통망 구축 추진 실태 감사 보고서’에서 “신안산선 제5공구(시흥시청~광명)의 경우 터널 시점에서 약 19㎞ 떨어진 구간에 암반이 부스러지는 등 지반이 매우 불량한 상태”라며 “그런데도 터널 설계에 ‘인버트’가 반영돼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인버트는 약한 지반을 보강하는 콘크리트 시설물이다.

이에 대해 시공사 측은 “당시 감사원 의견에 따라 설계에 인버트를 반영했다”고 밝혔다.

 

======================================

 

포스코이앤씨가 시공사네요. 더 큰일이 나기전에 

전체적으로 재점검해야 될 듯.. 시공책임자들 전부 책임을 제대로 져야 될 듯 하네요..

더 큰 사고가 생기기전에...

 
0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