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손상된 시력을 회복시킬 수 있는 신약 개발에 성공했다.
김진우 KAIST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은 망막 신경을 재생시켜 망막질환자의 시력을 회복할 수 있는 치료법을 개발했다고 지난 30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물질은 손상된 망막 자체를 재생시켜 망막질환의 종류에 관계없이 시력을 회복시킨다.
눈을 감싸는 얇은 막이 손상되면 시력을 떨어뜨리거나 사물이 왜곡되어 보인다.
망막질환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한국망막학회는 망막박리, 당뇨망막병증, 망막정맥폐쇄, 황반변성을 4대 망막질환으로 꼽는다.
병증이 심해지면 실명까지도 이를 수 있는 무서운 질환이다.
연구팀은 포유류에서 뮬러글리아 세포의 역분화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프록스원’(PROX1)이라는 단백질을 발견했고, 망막에서 만들어지는 프록스원 단백질이 세포에 축적되면 망막이 재생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연구팀은 이 프록스원 단백질에 결합하는 항체를 발굴, 이를 생쥐에 투여했더니 망막의 신경세포가 재생되고 시력이 회복된다는 사실을 또한 밝혀냈다. 망막이 손상된 생쥐에 이 항체 물질을 안구에 주사하고 2주가 지났을 때도 시력이 회복됐다. 또한 시력 회복 효과는 6개월 이상 지속됐다.
이미 시중에 유통되는 망막질환 치료제들이 있으나, 병증이 심해지는 걸 막아줄 뿐 이미 손상된 시력을 회복시키지는 못했다.
연구진은 이번 기술을 활용한 치료제를 개발할 예정이며, 2028년에는 임상시험에 돌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국내 4대 망막질환자는 매년 증가해 2023년 기준 110만명이 넘었다.
==================================
손상된 시력을 겨우 유지하는 수준이거나 손상 후 악화를 지연 시켜주는 정도의 치료에서
드디어 회복이 가능한 신약의 개발 가능성이 커졌다고 하네요.
국내연구진의 성과라는 것도 박수쳐 주고 싶네요. 생쥐실험에서는 이미 검증됐고 이제 임상시험도
목전이라고 하니 너무 기대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