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전에 미세먼지가 엄청 심했지요. 마스크 쓰고 나름 안경도 썼지만 결국 눈충혈이 너무 심하고 뻑뻑한 증상이 있었어요. 결국은 안과가서 알레르기성 결막염 진단받고 치료 후기 공유 합니다.
1. 알레르기성 결막염 뭔가요?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항원이 결막에 접촉하여 과민 반응이 일어난 상태입니다.
2. 알레르기성 결막염 원인은요?
알레르기 유발 물질은 참 다양합니다. 꽃가루, 풀, 음식,비누, 화장품, 진드기, 집먼지, 곰팡이, 미세먼지 등등 입니다.
3. 알레르기성 결막염 증상은?
눈과 눈주위의 가려움, 충혈, 통증, 눈물, 부종 이 있을 수 있어요. 저의 증상은 심한 눈충혈, 눈이 빠질듯한 통증, 뻑뻑함이 있었어요.
4. 알레르기성 결막염 치료는?
일단 알레르기 유발 하는 원인 자체를 차단하는것이 중요하겠지요. 저는 일단 큰 원인이 미세먼지 였기에 최대한 외출을 자제하는것이 첫번째 였어요. 그리고 처방 받은 스테로이드 점안제 후메론을 하루 4번 점안하고 인공 누액 히알원 점안액을 하루 6번 빠짐없이 점안 했어요. 확실히 인공 누액만 점안 했을때 보다 스테로이드제 점안제 쓰니 확 좋아지기 시작하더라구요.
5. 미세먼지 심한날 알레르기성 결막염 예방법은?
미세먼지가 심한날 앞으로도 계속 있겠지요. 한번 미세먼지로 인하여 알레르기성 결막염이 있었다면 재발 조심 해야 합니다. 일단 미세먼지 심한날은 외출을 최대한 자제하고 외출을 피할 수 없다면 마스크에 안경을 반드시 착용하세요. 그리고 외출하고 돌아와서는 한번 쓴 마스크는 버리고 안경도 닦아줍니다. 옷은 세탁하고 샤워를 해줍니다. 공기청정기를 항상 돌려주고 적정 습도 40% 정도 유지해줍니다. 그리고 혹시나 외출 후 눈이 뻑뻑하거나 전조증상이 보인다면 냉찜질을 해줍니다. 차가운 물수건을 사용하거나 인공누액을 차갑게 해서 점안하면 도움이 됩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에 대하여 알아보았어요. 저는 비염도 있어서 아마 앞으로도 계속 재발 할 가능성이 높아 항상 예방법을 신경 써야 할 것 같아요. 앞으로 눈건강 꼭 지켜 봅시다!
작성자 안레몬
신고글 알레르기성 결막염 치료 위해 결국 안과 다녀왔어요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